인센티브 제도
▶ 서비스의 장점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의 충족을 위해서 조직에 들어가서 일을 합니다. 인센티브는 사람들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기 때문에 조직 구성원들의 생산성, 이직이나 결근,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의 조직 유효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인센티브는 특히 다음과 같은 부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직 유효성을 결정합니다.
- 첫째, 인적자원의 확보와 유지이다. 인센티브는 사람들에게 특정한 조직에 지원하고 계속해서 근속하고자 하는 의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둘째, 동기부여이다. 인센티브는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한 방향을 향해 행동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시킨다.
- 셋째, 기능의 계발이다. 인센티브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의욕과 그들이 느끼는 학습에 필요성에 영향을 미친다.
인센티브 설정은 직원의 동기부여를 높이고 조직과 인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내용에 따라서는 단기 성과에 끝나버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사 전문가 그룹 시너지는 ‘인센티브 제도 구축 컨설팅’을 통해 귀사의 경영 비전과 경영 전략, 인재 경영 전략을 실현시켜 장기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환경을 구축합니다.
‘인센티브 제도 구축 컨설팅’은 귀사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경영을 할 수 있는 인센티브 계획을 기획, 설계합니다. 특히 중장기적인 인센티브 계획을 구축할 때 조직이나 인사 측면뿐만 아니라 귀사의 재무적 관점을 고려한 제도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귀사의 기존 인사 제도 (직무・평가・보상)과의 적합성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인사 제도로 평가되지만, 인센티브 계획에서는 평가되지 않는, 또 반대로 기존 인사 제도에서는 평가되지 않지만 인센티브 계획에서 평가되는 등 기존의 인사 제도와의 충돌도 발생하지 않도록 구축해야 합니다. 만약 인센티브의 내용이 인재를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으면, 단기적으로 직원의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었다고 해도, 장기적으로 보면 의욕이 저하되는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조직 또는 인재가 움직이는 등의 위험이 내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 서비스의 내용
■ 인센티브 제도는 인센티브 체계(Incentive Structure)를 근간으로 아래와 같이 5가지 Components로 이루어집니다.

■ 인센티브는 개인, 조직 및 회사의 성과를 반영하여 개인별 또는 팀별로 차등 지급되는 성과급의 일종으로 성과향상에 대한 동기부여와 우수인재 확보를 목적으로 합니다.

■ 인센티브 제도 설계 시 고려사항
장기 인센티브 계획을 수립할 때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설계합니다.

■ 비금전형 인센티브
일반적으로 인센티브라고 하면 금전에 의한 보상이라는 이미지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동기가 부여되는 요인은 반드시 금전에 의한 것이라고만 할 수 없습니다. 기업 경영에 있어서 인센티브 계획은 금전적 측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교육, 훈련, 휴가, 표창 등의 비금전적 보상도 관심을 두고 설계해야 합니다. 시너지의 ‘인센티브 제도 구축 컨설팅’은 금전적 인센티브뿐만 아니라 비금전 측면도 염두에 두고, 인센티브 제도를 설계하여 변화와 동기에 영향력이 있는 인센티브 제도 구축을 실현합니다.
■ 인센티브의 종류
전형 인센티브 및 비금전적형 인센티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인센티브 계획에 의해 평가하는 행동이나 활동이 매출・이익 등 실적에 직결되는 것인지, 조직문화 직원끼리의 관계 등을 강화하는 관계에 직결되는 것인지에 따라 인센티브의 종류를 선정, 또한 조합 설계합니다.
■ 인센티브 설계의 3단계
인센티브의 설계는 다음의 3단계에 따라 실시합니다.

■ 서비스의 흐름

▶ 서비스의 이용배경
- 명확한 목표 달성 개념을 기반으로 한 변동 성과급 제도를 만들고 싶다.
- 성과향상에 대한 동기부여를 줄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싶다.
- 개인, 조직 및 회사의 성과를 반영하여 개인 또는 팀별로 차등 지급되는 성과급 제도가 필요하다.
- 성과지표 및 성과목표 설정 등 조직의 성과관리 시스템을 정비하고 싶다.
- 조직 구성원이 조직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는 의욕을 고취시키고 싶다.
-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하여 조직 구성원의 업무 의욕을 강화하고 싶다.
- 조직 구성원 및 조직(팀) 간의 긍정적 경쟁관계를 통해 성과지향 문화를 구축하고 싶다.
- 조직 구성원의 생산성 제고를 꾀하고 싶다.
▶ 서비스의 이용효과
- 인센티브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구체적인 Formula를 제공함으로써 합리적 성과 목표 관리를 위한 동기부여가 가능합니다.
- 직원의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유발된 행동을 유지하며, 나아가 그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해 갑니다.
- 조직 구성원이 조직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는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습니다.
- 경제적 또는 비경제적 인센티브를 활용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업무 의욕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구성원 간의 긍정적 경쟁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의 역동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인센티브 제도의 활용은 조직 구성원의 생산성 제고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조직의 생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위에서 언급한 여타의 효과 즉, 동기유발, 사기 진작 및 경쟁 유발을 통해 간접적으로 생산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인센티브 제도의 타당성은 구성원 모두에게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또 경영층의 측면에서 보다 능률적으로 경영을 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